택배박스 분리수거를 하면서 느낀 경기침체

 

나는 2030 영끌족을 대표한다

자부심이 대단할 정도의 FOMO형 투자자로 팔한짝정도는 물리고 시작하는

호랑이 매매법의 권위 주자라고 볼 수 있다.

 

2013년도부터 국내 주식으로 시작한 금융투자 생활은 항상 만만치 않았으며

물리고 물 타서 탈출하는 반복 패턴으로

9년간 통계상으로는 돈을 잃지는 않은 수준의 실력자로 성장했다.

(잃은 건 내 머리카락뿐..)

 

그런 나에게 2019년도 폭등장은 개똥밭에서 구르던 내 삶에 두 줄기 빛이 될뻔했다.

 

1. 서울 아파트

2. 비트코인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승한 부동산 시세는 2020년 여름 장기휴가 중이던

나의 뒤통수를 서늘하게 했고 휴가 5일 차만에 부동산 계약을 하게 만들었으며

20대와 30대를 다 바쳐서 모은 돈을 보름 만에 중도금에 사용하게 되었다.

(아이러니하게 집 사려고 판 국내 주식은 상승상 이전에 -30% 손절.. 후 100% 상승..)

 

 

 

 

항상 투자의 첫 끗발이 좋다던가

별다른 고민 없이 매수한 아파트는 최대 1억 6천만 원의 차익을 1년 만에 낼 수 있는 기회를 주었고

나는 연신 금리인하를 외치며 양도세 면제를 위한 실거주 2년을 하루하루 채워가며

양도차익을 얻기 위해 부동산에 아파트를 미리 매물로 내놓고

호갱 노노 일일 단골손님이 되어갔고..

 

현재의 나는 양도세 면제 조건을 만족했음에도

꿈만 같았던 차익은 모두 시장에 내놓은 채

이자를 내기 위해 이전의 과소비적 습관을 없애기 위해 하루하루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이 원수 같은 아파트에 살면서 자본시장의 변화를 온몸으로 느끼고 있다.

 

내가 살고 있는 복도식 아파트는 올초만 해도 엘리베이터를 잡기 힘들 정도로 

쿠팡, 마켓 컬리 등 택배 배달, 배달의민족 같은 음식 배달이 많았고

출퇴근길 이웃집 앞에는 택배가 산처럼 많이 쌓였었다.

 

여러분의 아파트는 어떠한가

최근 쓰레기 분리수거하면서 택배박스를 버릴 때 쌓여있는 박스들이

예전보다 눈에 띄게 줄어든 것만 같다.(쿠팡... 마켓 컬리 괜찮니?)

 

 

 

 

이게 투자고수들이 말하는 직관력이라고 한다면

투자 생활 10년 차인 나에게는 왜 이런 힘든 시기에 직관력을 가지게 해 주었는지

나 스스로에 원망스러워진다.(소비침체.. 지금이니?ㅠㅠ)

 

아는 만큼 보는 자에겐 버티기 힘든 시기

자산시장 사이클의 역사를 온몸으로 맞아가며

오늘도 금융 체력은 성장해가는 것임을 스스로에게 새겨본다.

 

음식물 쓰레기가 손에 잔뜩 묻은 채로

애꿎은 슬리퍼나 질질 끌면서 나는 또 엘리베이터에 올라타 본다. 

 

 

 

 

STO의 장점

 

"STO자금 모집을 위한 기초 자산은 주식, 부동산, 미술품, 저작권 등 현실세계에서 가치평가를 받고 있는 실물자산이다"

 

Q. 왜 주식, 부동산, 미술품, 저작권, 자산관리회사 등등 을 증권형 토큰으로 만들어서 거래하려고 하는 걸까?

 

그 첫 번째 이유를 자산의 글로벌 유동성 부여라고 생각합니다. 부동산으로 한 가지 예를 들어보면 만약에 롯데그룹이 글로벌 금융위기와 경영부실로 인해서 막대한 손실 및 부채가 발생해서 기업도산을 막기 위해 대략 4조 가치의 롯데월드타워를 처분하려고 한다면? 매각 의사결정에 "증권형 토큰 시장 추가 옵션이 될 것입니다.

 

아래 2개 케이스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CASE 1. 지금 전통적 방식으로 다른 기업들에게 인수 경쟁을 붙여 빌딩을 처분한다.

  - 최고가 낙찰방식으로 기업 간 입찰 가격 경쟁에 의한 자산가치평가.

  - 가격적 요인 외에도 매각 기업과 매수기업 간 상호 이해관계에 의해 거래 불발 가능. 

  - 매각협상 성공 시 일시에 대금 수령 가능성이 높지만, 대금 수령 방식 협의 등 협상 시간이 오래 걸림. 

 

 

 

 

CASE 2. STO방식으로 부동산을 글로벌 증권형 토큰 시장에 상장 후 매각한다.

  - 글로벌 증권으로서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비교적 공정한 자산가치평가.

  - 지분방식으로 전략적으로 일부 지분만 매각 가능 혹은 향후 지분 매수 가능.

  - 증권형 토큰으로서 블록체인 기술에 의한 전략적으로 다양한 매각 옵션 부여 가능.

  - 부동산 STO상장 선례가 많아질수록 상장 소요기간은 줄어들겠지만, 일시에 보유지분 대량 매각 가능성이 낮음.

 

의사결정 도구로서의 Security Token Offering

 

어떤 방식이 유리하다곤 할 수 없겠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의사 결정할 수 있는 한 가지 도구가 생긴 셈입니다. 근데 뭐 미술품, 저작권 등은 부동산과는 크게 다를 게 없는 거 같은데 왜 주식은 증권형 토큰으로 발행되고 있고 또 왜 발행하려는 걸까? 이미 전 세계적으로 주식시장은 각 국가별 거대 플랫폼에 의해 활발히 거래되고 있는데 말입니다. 저 같은 주식쟁이의 1차원적인 생각으로는 증권화된 주식 토큰만 놓고 봤을 때 주식시장과 블록체인 기술과의 융합에 의해 아래와 같은 시장이 생길 거라고 생각합니다.

 

1. 주식의 가치, 권리가 Paring 된 증권형 토큰이 24/365 거래 가능하다.

2. 전 세계 주식시장에 있는 모든 종목이 거래가 가능하다.

3. 매매체결 즉시 결제가 발생한다.(체결 즉시 재매매, 인출 가능)

4. 버크셔 해서웨이 같은 고가의 종목도 소수점 단위로 거래가 가능하다.

5. 금융 선진국의 선진화된 금융규제, 인프라 도입으로 투명한 글로벌 금융표준이 만들어질 수 있다.

6. 글로벌 유동성 공급자(LP), 시장조성자(MM)의 탄생으로 저평가, 고평가 자산에 적절한 가치부여가 가능하다.

 

 

 

 

이렇게 망상을 해보았지만 가까운 미래에는 몇 가지 정도는 현실화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중 주식시장 24/365 거래가 된다는 건 데이트레이더에겐 꿈이자 지옥 같은 이야기입니다... 그럼에도 요즘 같은 세상에 휴일이라고 주식시장이 휴장 하는 것도 이해할 수가 없긴 합니다. 개인적으로 주말 휴장 제도는 월가 놈팡이들 작당질하라고 만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줄 요약

1. 부동산을 증권형 토큰화 하면 우리도 롯데타워 지분을 가질 수 있다.

2. 주식을 증권형 토큰화 하면 24/365 주식 토큰 거래 대환장 파티가 열린다.

3. 실물자산을 증권형 토큰 화하면 자산의 적정 가치평가에 유리하다.

 

 

 

 

#STO란?

https://financegallup.tistory.com/entry/sto-is

 

STO란 ?

Security Token Offering란 무엇일까 STO(Security Token Offering)는 아래 2개 개념의 장점만을 합쳤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시) IPO + ICO => STO (주식시장 + 암호화폐시장 => 증권형 토큰 시장) 모든 기업공개

financegallup.tistory.com

'STO 증권형 토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urity Token Market 투자 방법  (2) 2022.10.29
STO 테마 코인 거래소 리스트  (1) 2022.10.26
STO 거래소 비교 (INX, tZERO, Securitize)  (1) 2022.10.24
RegCF 규정 이란  (1) 2022.10.17
STO란 ?  (1) 2022.08.27

Security Token Offering란 무엇일까

 

STO(Security Token Offering)는 아래 2개 개념의 장점만을 합쳤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시) IPO + ICO => STO (주식시장 + 암호화폐시장 => 증권형 토큰 시장)

 

모든 기업공개 형태들의 목적은 신규자금을 모집하는 것입니다. 펀딩을 진행하기 위한 투자자들에게 공개되는 기초자산은 각각 다르게 운영되는데 STO의 특장점은 신규 자금 모집을 위한 기초 자산이 주식, 부동산, 미술품, 음원 등과 같이  "현실세계에서 가치평가를 받고 있는 실물자산"이라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실물 자산가치평가가 되기 때문에 청약 시 투자대상에 대한 안정성과 정부기관에서 상장심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행자의 먹튀가 불가능하고 토큰 보유자에 대한 권리를 보장한다는 점에서 STO는 IPO와 동일한 장점을 누릴 수가 있습니다. 또한, 증권형 토큰은 말 그대로 증권(주식)이기 때문에, 증권거래 라이선스를 취득한 금융기관(증권사 등)만이

거래소 역할을 할 수가 있어서 다양한 규제를 적용받습니다.

 

그중 주목할만한 것은 해외의 일부 증권화 토큰 거래소의 경우 한화 1억 이상의 예금자보호가 시행하고 있어, 흔히 발행했던 코인 거래소 먹튀 같은 거에 대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라이선스 취득 전까지 기존 코인 거래소는 증권형 토큰 거래 불가합니다.

 

IPO는 투자자로부터 돈을 받고 주식(상장기업)을 주고 ICO는 투자자로부터 돈을 받고 코인(발행 코인)을 주고 IPO도 투자자로부터 돈을 받고 코인(실물자산연계 코인)을 주게 됩니다. 이렇게 펀딩 된 자금은 기업 운영에 사용하거나 신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자본금이 됩니다.

 

 

 

 

개미투자자 입장에서 청약시장 참가시 ICO와 다른 점은?

 

ICO는 신규 코인 발행주체가 항상 장점만을 무기로 내세우고 아래와 같은 "우리 신규 코인 만들게 돈을 줘라" "대신에 앞으로 대박 날 신규 코인 줄게, 우리 코인 100배 간다!" 공격적인 프로모션으로 펀딩 모집을 진행하기 때문에. 코인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도 없을 뿐 아니라 암호화폐 관련 법이 현재 제대로 정비되지 않아 투자자 보호를 받기 힘듭니다.

 

(일례로 최근 휴지조각이 된 루나 같은 대형 코인 조차도 초기 IPO현장에서 기자들이 나 투자자들이 루나, 테라에 대한 의문점을 질의할 때면 도권이 "너희들이 뭘 몰라서 그렇다"며 대놓고 공개비난, 공개망신주기 바빴다고 합니다..)

 

최악의 경우 코인 발행자가 돈을 받고 코인을 무제한 발행해서 시장에 매도하고 도망쳐도 법적으로 제재할 방법이 없습니다. (현재 일부 국가는 제도적으로 정비가 된듯해 - 미국 일부 주, 싱가포르, 일본 등)

 

STO에서 사용하는 ICO의 장점 

 

역시나 첫 번째 장점은 블록체인상에 증권형 토큰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즉, 증권형 토큰 = "블록체인의 모든 장점을 가진 주식"이라고 봐도 이해하기 쉽습니다. 블록체인은 보안성에서 다른 네트워크 대비 강한 이점을 가지고 있고 특히나 해킹에 완벽히 대응할 수 있는 ERC-1404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토큰 보유자의 권리보호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ERD-1404 프로토콜이 도입된 증권형 토큰이라면 , 만약에 해킹을 당해도 해커에게 넘겨진 토큰은 거래소와 STO발행사에 등록된 블록체인 주소에만 전송될 수 있습니다. 임의의 다른 블록체인 주소 전송 불가합니다.

 

그럼에도 해커가 토큰을 거래소에 등록된 여러 블록체인 주소로 전송하고 잠수를 타버린다 해도 해킹당한 것임을 입증만 하면 기존 해킹된 토큰을 소각, 해킹당한 사람의 주소로 신규 토큰을 생성시킬 수 있습니다. 모든 거래가 블록체인상에 기록되기 때문에, 해킹을 입증 증 피해복구가 쉽습니다.

 

 

 

 

위의 이야기를 삼성전자 주식으로 설명하면 해커가 내 키움증권 계좌에 있는 삼성전자 주식을 한국투자증권 계좌로 타사대체 출고시키고 잠수를 타는 거랑 비슷합니다. (주식의 경우 매도 후 결제까지 T+2일이 필요하기 때문에, 혹은 주식담보대출 시행 시 거래와 신원사항에 대한 인증과정이 엄격하기 때문에, 해킹당한 것을 인지할 수만 있다면 해커가 매도대금을 들고 해외로 도망가는 걸 충분히 막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주식 해킹 발생 불가.)

 

반대로 투자자 입장에서 귀찮은 것은 STO는 투자자 보호의 문제로 토큰 투자도 검증된 투자자만 투자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 법들이 생길수록 거주하는 국가, 투자자 경험이나 보유자산 수준에 비례하여 투자자 진입장벽이 높아질 예정이라는 것입니다. 지금도 이 때문에 해외 STO거래소 가입이 좀 어렵기도 합니다, 상세 가입방법의 경우는 해외 STO거래소 가입 내용에 정리해드릴 예정입니다.

 

증권형 토큰의 추가적인 장점은 토큰 보유자에 대한 모든 정보와 모든 거래가 투명하게 공개가 되기 때문에. 주식시장에 발생하는 자전거래나 통정거래 같은 불법행위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를 이용해서 증권형 토큰을 투자하기 전 시간을 많이 들이지 않고도 토큰의 투명성 여부를 투자자 본인의 힘만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편에서는 STO의 자금모집 부분에 대해서 주식, 부동산 등 실물자산이 증권형 토큰화 되면 왜 좋은지 말씀드리겠습니다.

 

3줄 요약

1. STO는 주식시장의 장점을 이어나간다.(법률제도)

2. STO는 블록체인의 장점을 이어나간다.(블록체인)

3. 위를 통해 STO시장 참여자(발행자, 유통자, 투자자) 모두의 보호가 가능하다.

 

 

 

 

#증권형 토큰의 장점

https://financegallup.tistory.com/entry/sto-good-thing

 

STO의 장점

STO의 장점 "STO자금 모집을 위한 기초 자산은 주식, 부동산, 미술품, 저작권 등 현실세계에서 가치평가를 받고 있는 실물자산이다" Q. 왜 주식, 부동산, 미술품, 저작권, 자산관리회사 등등 을 증권

financegallup.tistory.com

'STO 증권형 토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urity Token Market 투자 방법  (2) 2022.10.29
STO 테마 코인 거래소 리스트  (1) 2022.10.26
STO 거래소 비교 (INX, tZERO, Securitize)  (1) 2022.10.24
RegCF 규정 이란  (1) 2022.10.17
STO의 장점  (2) 2022.08.29

해외 거래소 입금 방법

 

. 해외거래소 교차 코인 전송이란?
: 업비트 -> 해외거래소 -> 메타마스크

(1) 업비트 :

1. 리플 코인(XRP) 매수
2. 해외거래소(바이낸스, FTX, 쿠코인 등)에 리플 코인(XRP) 코인 전송
(이체수수료 천 원 미만, 전송속도 1~3분)

(2) 해외거래소(바이낸스, FTX, 쿠코인 등) :

1. 리플 코인(XRP) 수신
2. 리플 코인(XRP) 매도(USDT시장 또는 USDC시장)
3. 이더리움(ETH) 코인 매수
4.이더리움(ETH) 코인 메타마스크 전송(ERC-20)

(3) 메타마스크 : 이더리움(ETH)코인 수신 여부 체크

#참고 : 거래소별 이더리움 출금수수료
업비트 이더리움 전송 수수료 : 0.018 ETH(2022.08.21(일) 현재 한화 약 4만원)
바이낸스 이더리움 전송 수수료 : 0.0012 ETH(2022.08.21(일) 현재 한화 약 3천원)
FTX 이더리움 전송 수수료 : 0.0005 ETH(2022.08.21(일) 현재 한화 약 1천원)

(1) 준비물
1. 해외거래소(바이낸스, FTX, KUCOIN) 가입 계정
(100만 원 미만 전송 시 KYC인증필요없음, 100만원 이상 전송시 KYC인증 필요)
(해외거래소 KYC인증 시 영문 운전면허증으로 인증해주세요.)
2. 메타마스크 지갑

#바이낸스 가입하기 : https://accounts.binance.com/en/register?ref=110912049

 

#KUCOIN 가입하기 : https://www.kucoin.com/ucenter/signup?rcode=r3FZH2T

 

#메타마스크 지갑 만들기 : https://financegallup.tistory.com/entry/metamask-join


#업비트 트래블 룰 알아보기 : https://upbitcs.zendesk.com/hc/ko/articles/4498679629337-%ED%8A%B8%EB%9E%98%EB%B8%94%EB%A3%B0-%EC%95%8C%EC%95%84%EB%B3%B4%EA%B8%B0


(2) 업비트 -> 해외거래소(FTX) 이체하기

1. 업비트 : 리플 코인(XRP) 매수

 

업비트 리플 매수 주문화면
업비트 리플코인 매수

 

 

 

 

업비트 리플 입출금화면
업비트 출금신청 화면이동

 

2. 해외거래소(바이낸스, FTX, 쿠코인 등)에 리플코인(XRP) 코인 전송

 

업비트 출금신청 화면
업비트 출금수량 입력

 

FTX 리플 입금주소 화면
FTX 리플 입금 주소 확인

 

업비트 리플 출금 주소 입력완료 화면
FTX입금 주소입력

 

업비트 리플 출금 신청완료 화면
업비트 출금 규정 확인

 

업비트 리플 출금 시 카카오페이 인증하기
업비트 출금신청 카카오페이 인증 전

 

 

 

 

업비트 리플 출금 시 카카오페이 인증 신청 후 상태
업비트 출금신청 카카오페이 인증 후

 

3. 해외거래소(바이낸스, FTX, 쿠코인 등) 리플코인(XRP) 수신확인 후 매도

 

FTX 리플코인 수신 완료
FTX 리플코인 수신 완료

 

FTX거래소 리플 매도주문 처리
FTX거래소 리플 매도주문 처리

 

4. 해외거래소(바이낸스, FTX, 쿠코인 등) 이더리움(ETH) 코인 매수

 

FTX거래소 이더리움 매수 주문 처리
FTX거래소 이더리움 매수 주문 처리

 

5. 해외거래소(바이낸스, FTX, 쿠코인 등) 이더리움(ETH) 코인 잔고확인

 

FTX거래소 이더리움 잔고 확인
FTX거래소 이더리움 잔고 확인

 

6. 해외거래소(바이낸스, FTX, 쿠코인 등) 이더리움(ETH) 코인 -> 메타마스크 전송

 

FTX거래소 이더리움 메타마스크 전송
FTX거래소 이더리움 메타마스크 전송

 

7. 메타마스크 이더리움(ETH) 코인 수신 여부 체크

 

메타마스크 이더리움 수신확인
메타마스크 이더리움 수신확인

 

 

 

 



이어서 "INX거래소로 자금 이체하기(메타마스크-> INX거래소)"을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INX거래소로 자금 이체하기(메타마스크-> INX거래소) : https://financegallup.tistory.com/entry/inx-deposit

+ Recent posts